Home / 활동 /
  • 열림터
  • 울림
  • 울림
  • 열림터
  • ENGLISH
[발간] 섹슈얼리티 강의, 두번째
  • 2006-02-28
  • 4105

섹슈얼리티 강의, 두번째 - 폭력, 쾌락, 재현의 정치학
이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

<내리비치>


책머리에_ 섹슈얼리티 연구의 새 지평을 기대하며(이미경)
들어가며_ 다양항 주체들의 의미투쟁 스토리를 읽으며(변혜정)

강의를 열며_ 지구화 시대 한국사회 성문화와 성 연구방법(김은실)



1부 섹슈얼리티 경험과 주체성

여대생의 연애 경험 성·사랑·결혼의 정치학, 그 변화와 의미(김신현경)
1. 연애가 바뀌고 있다? - 성·사랑·결혼 제도의 역사적 변화
2. 여대생의 연애를 구성하는 일상적 문화
3. ‘프로젝트화’하는 연애, 지속되는 결혼의 조건
4. 변화, 진정한 가능성이 되기 위하여

자위하기 분리된 여성의 욕망과 몸, 제자리 찾기(원사)
1. 왜 자위인가?
2. 자위하기
3. 자위가 여성들에게 갖는 정치적 의미_성적 쾌락과 주체성은 자매다
4. 가부장제 비웃기_성역할 고정관념을 넘고 넘은 성적 실천으로서의 자위 경험
5. 클리토리스와 질의 경계 밖 욕망을 찾아서
6. 상상할 수 없는 것 상상하기
7. 나가며

섹스와 임신 너무나 밀접한, 그러나 너무나 다른 이야기(원영)
1. 성과 이성애 연애관계의 역동적 변화
2. 당당함을 드러내는 키워드, 성
3. ‘주체적 인간’에서 ‘피해자 여성’으로의 전환점, 임신
4. 왜 섹스는 문제가 되지 않고 임신이 문제가 되는가?
5. 다르지 않은 듯, 다른 듯 보이는 움직임들

미혼모의 섹슈얼리티 욕구와 책임의 성별화 벗어나기(서정애)
1. 들어가며
2. 미혼모가 되는 것
3. ‘혼전’ 임신의 낙인과 책임 ‘미혼부’는 없는가
4. 젠더 관계에서의 제한적이고 모순적인 섹슈얼리티
5. ‘미혼모’ 낙인을 넘어서

성폭력 ‘경험들’에 대한 단상 성폭력 행위와 피해 의미의 틈새(변혜정)
1. 들어가며
2. 성폭력 행위를 기억한다는 것
3. '피해' 구성
4. 남은 문제들



2부 섹슈얼리티 이론과 정치학

성매매, 누구와 누구 혹은 무엇과 무엇 사이의 문제인가?(민가영)
1. ‘성매매’와 ‘성매매 여성’은 동의어인가?
2. ‘성매매 근절이나 '성노동’이 왜 성매매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없는가?
3. 성매매 여성들의 목소리를 듣는 한 가지 방법
4. 성매매 경험이 체화된 여성의 몸에 대한 탐구로
5. 성매매/여성과 차이의 정치학
6. 나오며

성적 자기결정권을 넘어서 공간, 몸, 성폭력(정희진)
1. 젠더와 공간
2. 시간과 공간, 몸과 마음, 여성과 남성
3. ‘그릇 대 내용물’의 공간 개념과 여성의 몸
4. ‘공간으로서 여성의 몸’과 성폭력
5. 몸, 객관성, 성폭력 피해자 중심주의
6. 성적자기결정권의 공간 논리를 넘어서

벽장 비우기 레즈비언 섹슈얼리티와 이성애주의(한채윤)
1. 들어가며
2. 성정체성 형성 과정의 차이
3. 커밍아웃과 벽장 속의 이성애자들
4. 섹슈얼리티, 죽거나 성애화되거나
5. 이성애주의, 우아한 호모포비아의 진실
6. 마무리하며

포르노그래피, 억압과 해방의 이분법을 넘어서(이나영)
1. 들어가며
2. 포르노란 무엇인가?
3. 포르노에 관한 논의
4. 포르노에 개입하기, 사회 비판적으로 보기
5. 나가며

한국 영화의 섹슈얼리티 재현(주유신)
1. 한국 영화의 문화 정치학
2. 젠더 정치학으로 바라본 1990년대 이후 한국 영화
3. 섹슈얼리티 정치학으로 바라본 1990년대 이후 한국 영화
4. 여성 섹슈얼리티를 재현한 네 가지 사례

신여성과 성애화 그들은 왜 ‘애인’ 혹은 ‘탕녀’로 불렸는가? - 이명선
1. ‘신여성’ 다시 보기
2. ‘사회적 주체’로서 신여성의 등장
3. ‘신여성’ 담론과 성애화
4. 근대 여성주의의 출현과 ‘반격’ 그리고 섹슈얼리티
5. 맺음말

참고 문헌
글쓴이 소개


-------------------------------------------------